튀르키예 지진 현장의 특징은 폭격을 맞은 듯 주저앉는 대형 건물들이 많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중소형 건물은 물론 아파트 등 대형 건물들도 힘없이 밑으로 무너져 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[케말 멩겔로글 / 아다나 주민 : 두려웠어요. 건물이 온통 흔들려서 서 있을 수가 없었어요. 계속 흔들려서 대피했습니다.] <br /> <br />드러난 건물 단면을 보면 철근 몇 가닥 외에는 모두 콘크리트나 벽돌뿐입니다. <br /> <br />수직 방향 압력은 물론 수평 방향에서 오는 충격에 매우 취약한 구조입니다. <br /> <br />튀르키예와 시리아에서 지진 피해가 커진 원인 중 하나가 이 같은 허약한 건물 탓이란 지적이 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관련 전문가들은 지진 위험이 수천 년간 계속돼왔고 내진 건축 기술도 크게 발전했지만 튀르키예에선 변한 게 없다고 말합니다. <br /> <br />1999년에도 규모 7.6 강진으로 1만7천여 명이 숨졌고 2011년에는 800여 명이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튀르키예의 지진 피해 양상은 1995년 일본 고베대지진과 비교해 보면 확연히 구별됩니다. <br /> <br />당시 규모 7.2의 강진이 발생했지만 오래된 목조 건물 위주로 피해를 당했고 내진 설계 기준에 따라 지은 건물들은 경미한 피해만 입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튀르키예의 경우 설계 기준이 강화된 2000년 이후 건축물도 이번 지진으로 일부 붕괴된 것으로 나타나 규정이 제대로 이행됐는지도 의문입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다만 이후 진행할 재건작업이 건물 안전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임수근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020915061471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